권익위, 110콜센터 ‘스미싱’ 분석… 수법 지능화·다양화

봄 결혼철 ‘모바일청첩장’ 사칭 문자메시지 조심해야

 


○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이성보)가 정부민원을 상담하기 위해 운영하는 ‘110 정부민원안내콜센터’에 지난 1년간('13. 4. ~ '14. 3.) 접수된 스미싱 피해사례를 분석한 결과, 그 수법이 다양해지고 지능화되고 있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미싱이란 문자메시지를 보내서 특정 사이트를 클릭하도록   유도해 소액결제나 정보유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주요 유형은 차량 속도위반 단속, 청첩장, 공공기관 등을 사칭하는 경우였다.
 

<스미싱 문자메세지 예시>

 

 
○ 지난 1년간 110콜센터에 들어온 스미싱 피해상담 건수는 총 1,045건이고, 피해금액은 4,943만 원으로 주로 소액결제 피해가 많았다. 올해 들어서는 본인이 접속하지도 않은 인터넷사이트나 게임 업체에서 매달 9,900원~19,900원씩 소액결제된 것을 뒤늦게 알게 되어 누적된 피해금액이 커진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상담건수 및 피해금액 현황>

 

○ 스미싱 피해의 주요 유형과 사례를 보면 계절별 특성도 지능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① 봄철 결혼 시즌에는 지인을 가장해 모바일 청첩장을 문자메시지로 발송
      <상담사례> 지인의 모바일 청첩장을 문자메시지로 받고 첨부된 링크를 클릭했더니 5만 원씩 두 번의 소액결제 피해 발생
   ② 집을 비우는 가구가 많은 여름 휴가철엔 법원·우체국을 사칭해 등기가 반송된 것처럼 문자메시지를 발송
      <상담사례> 법원에서 형사소송 등기가 반송되었다는 문자메시지를 받고, 첨부된 링크를 클릭했더니 모르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개인정보 유출
   ③ 가을 단풍철 및 추석명절 등 차량 이동이 많은 시기에는 속도위반으로 단속된 것처럼 문자메시지를 발송
      <상담사례> ‘도로교통법 위반사건 2013형 제330-1322?호 기소내용  확인요청 hiway?.kr’라는 문자메시지를 받고, 실제 단속여부 확인을  요청한 사례

 

<주요 사칭유형별 피해상담 건수> 

   

○ 110콜센터 관계자는 “스미싱이 국민생활 밀접한 곳까지 지능적으로 파고들어 다양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히고, 특히 “소액결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휴대폰 요금 명세서를 꼭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통신사에 ‘소액 결제 차단 서비스’를 신청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또한, “스미싱 피해가 의심되는 경우 ‘110 정부민원안내콜센터(국번없이 110)’에 전화를 걸어 상담을 요청하면 사기여부 확인과 함께 대응방법을 자세하게 안내받을 수 있고, 이미 금전 피해가 발생한 경우라도 경찰, 해당기관 등에 연결하여 신속한 후속  조치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스미싱 피해 예방수칙

 ○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문자메세지의 인터넷주소 클릭 금지

 (지인에게서 온 문자메시지라도 인터넷주소가 포함된 경우 클릭 전에 전화 확인)

 ○ 미확인 앱이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스마트폰의 보안설정 강화

 (보안설정 강화방법 : 환경설정>보안>디바이스관리>'알 수 없는 출처'에 V체크가 되어 있다면 해제)

 ○ 이동통신사 고객센터에 전화하거나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소액결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거나 결제 금액 제한

 (자신의 핸드폰으로 114 눌러 상담사와 연결해도 소액결제 차단

 ○ 스마트폰용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 T스토어, 올레마켓, LGU+앱스토어 등 공인된 오픈마켓을 통해 앱 설치

 ○  보안강화, 업데이트 명목으로 금융정보 요구 시, 절대 입력금지

 

금전 피해가 발생한 경우

<피해 구제 방법>

문자메세지를 삭제하지 말고 경찰서를 방문하여 발급받은 '사건 사고 사실 확인원'을 이통사, 게임사, 결제대행사 등 관련 사업자에게 제출

<악성파일 삭제>

스마트폰 내 '다운로드' 앱 실행 → 문자를 클릭한 시점 이후, 확장자명이 apk인 파일 저장여부 확인 → 해당 apk파일 삭제  (삭제되지 않은 경우, 휴대전화 서비스센터 방문 또는 스마트폰 초기화)

금전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파일 삭제, 해당 이동사 제공 예방서비스 이용

 

 

Posted by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콜110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