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봄 결혼철 ‘모바일청첩장’ 사칭 문자메시지 조심해야
☎ 110 소식 2014. 4. 15. 16:52 |
권익위, 110콜센터 ‘스미싱’ 분석… 수법 지능화·다양화 |
봄 결혼철 ‘모바일청첩장’ 사칭 문자메시지 조심해야
|
<스미싱 문자메세지 예시>
|
<상담건수 및 피해금액 현황>
① 봄철 결혼 시즌에는 지인을 가장해 모바일 청첩장을 문자메시지로 발송
<상담사례> 지인의 모바일 청첩장을 문자메시지로 받고 첨부된 링크를 클릭했더니 5만 원씩 두 번의 소액결제 피해 발생
② 집을 비우는 가구가 많은 여름 휴가철엔 법원·우체국을 사칭해 등기가 반송된 것처럼 문자메시지를 발송
<상담사례> 법원에서 형사소송 등기가 반송되었다는 문자메시지를 받고, 첨부된 링크를 클릭했더니 모르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개인정보 유출
③ 가을 단풍철 및 추석명절 등 차량 이동이 많은 시기에는 속도위반으로 단속된 것처럼 문자메시지를 발송
<상담사례> ‘도로교통법 위반사건 2013형 제330-1322?호 기소내용 확인요청 hiway?.kr’라는 문자메시지를 받고, 실제 단속여부 확인을 요청한 사례
<주요 사칭유형별 피해상담 건수>
○ 또한, “스미싱 피해가 의심되는 경우 ‘110 정부민원안내콜센터(국번없이 110)’에 전화를 걸어 상담을 요청하면 사기여부 확인과 함께 대응방법을 자세하게 안내받을 수 있고, 이미 금전 피해가 발생한 경우라도 경찰, 해당기관 등에 연결하여 신속한 후속 조치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스미싱 피해 예방수칙
○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문자메세지의 인터넷주소 클릭 금지
(지인에게서 온 문자메시지라도 인터넷주소가 포함된 경우 클릭 전에 전화 확인)
○ 미확인 앱이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스마트폰의 보안설정 강화
(보안설정 강화방법 : 환경설정>보안>디바이스관리>'알 수 없는 출처'에 V체크가 되어 있다면 해제)
○ 이동통신사 고객센터에 전화하거나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소액결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거나 결제 금액 제한
(자신의 핸드폰으로 114 눌러 상담사와 연결해도 소액결제 차단
○ 스마트폰용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 T스토어, 올레마켓, LGU+앱스토어 등 공인된 오픈마켓을 통해 앱 설치
○ 보안강화, 업데이트 명목으로 금융정보 요구 시, 절대 입력금지
금전 피해가 발생한 경우
<피해 구제 방법>
문자메세지를 삭제하지 말고 경찰서를 방문하여 발급받은 '사건 사고 사실 확인원'을 이통사, 게임사, 결제대행사 등 관련 사업자에게 제출
<악성파일 삭제>
스마트폰 내 '다운로드' 앱 실행 → 문자를 클릭한 시점 이후, 확장자명이 apk인 파일 저장여부 확인 → 해당 apk파일 삭제 (삭제되지 않은 경우, 휴대전화 서비스센터 방문 또는 스마트폰 초기화)
금전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파일 삭제, 해당 이동사 제공 예방서비스 이용
'☎ 110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철 TV에서 만나는 정부 대표콜 110 홍보동영상 (0) | 2014.04.30 |
---|---|
[당첨자발표] 잘!생겼어요 110 애칭 이벤트 당첨자 발표 (30) | 2014.04.24 |
"정부민원, 언제 어디서나 수화로 통역해 드립니다" (0) | 2014.04.15 |
"당황하셨어요?" 외국인 불편도 '110'이 해결사 (0) | 2014.04.15 |
라디오 "여성시대"에 110상담사분이 보내신 한통의 편지 (2) | 2014.04.10 |